2023-06-21~23 해커그라운드 참여 후기
카테고리 없음2023. 6. 30. 16:172023-06-21~23 해커그라운드 참여 후기

주제 해커그라운드는 Microsoft와 경북대학교에서 주관하는 해커톤이라서 그런지 MS의 Azure 클라우드 서비스를 사용해서 대구, 경북 지역의 지역문제 해결하는 것이 주제인 해커톤이었다. 팀 빌딩 해커톤 장소에 도착하니 팀 빌딩이 끝난 팀과 팀 빌딩이 되지않은 참가자들로 나뉘어서 자리 배치를 시작했고, 팀 빌딩이 되지않은 참가자들은 개발자와 기획자로 나뉘어 착석했다. 총 4명이 모여야 팀 빌딩이 완료되는 구조였는데, 우리팀은 3명이었고 프론트엔드 개발자 1명을 구하기 위해 자리를 잡고 개발자를 찾고있었다. 대회장 안에서는 참가자를 찾지 못했지만, 해커그라운드 디스코드를 통해서 개발자 1명을 영입했고, 꽤 빨리 팀 빌딩을 끝낸 상태로 개발에 들어갔다. 기획 내가 팀장역을 맡았고 기획과 백엔드 개발을 담..

카테고리 없음2023. 6. 28. 11:46RDS 트리거 생성 오류

AWS RDS에서 트리거 생성 쿼리를 실행했을 때 아래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Error Code: 1419. You do not have the SUPER privilege and binary logging is enabled (you might want to use the less safe log_bin_trust_function_creators variable) 원인 분석단서1에러메세지: 슈퍼권한이 없다. 안전하지 않은 log_bin_trust_function_creators 변수를 사용했을 수 있다. 단서2로컬에서 사용하던 테스트 DB에서는 정상적으로 생성되었던 Trigger가 RDS에서만 에러를 발생시킴.에러메세지를 구글링해본 결과 RDS에서 파라미터 그룹에 log_bin_trust_functi..

카테고리 없음2023. 6. 28. 11:46[JPA] Entity Table 대소문자 네이밍 에러

문제 발생JPA를 통해 Entity를 생성할 때 name 속성으로 "USER_TB" 이렇게 대문자로 지정해줬는데서버를 실행하고 나니 'user_tb'을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했다.뭔가 이상해서 ddl-auto를 create로 지정해서 DB에 Table이 어떻게 생성됐는지 확인해 봤는데user_tb로 소문자로 이루어진 테이블이 추가로 생겼다. 원인 분석이에 관해 google에 검색해본 결과 Spring boot의 DB Physical Naming Strategy이 원인이었다.DB Physical Naming Strategy는 모든 테이블 명을 소문자로 작성하고, 카멜 케이스 대문자는 밑줄로 대체하는 전략이다. 해결아래 코드를 통해 네이밍 전략을 변수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도록 바꿔주었다.spring: ..

카테고리 없음2023. 6. 28. 11:42[Spring] Static 객체와 Bean의 차이

프로젝트 진행 중 상수 클래스를 선언할 일이 생겼는데, 메모리에 미리 올려두고 다른 클래스에서 사용하기 위해서 상수 클래스를 구현하였다.그런데 갑자기 "static도 프로그램 실행 시에 가장 먼저 메모리에 변수를 등록하는 것인데 Bean도 싱글톤 객체로 메모리에 미리 올려두고 사용하는 것이니까 둘 다 똑같지 않은가?"라는 생각이 들었다. static으로 선언하는 것과 spring bean으로 등록하는 것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Staic과 Bean의 공통점공유가 가능하다Static으로 선언된 객체와 빈으로 등록된 인스턴스 모두 공유 될 수 있는 인스턴스이고, Static 객체는 클래스의 모든 인스턴스가 공유하고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를 통해 공유 된다.라이프 사이클이 존재한다빈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

image